한국은행 기준금리가 3.25% 까지 오른 지금 시중은행의 예금상품과 적금상품의 인기는 갈수록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 중에서 우체국 은행의 예금과 적금도 인기를 끌고 있는데요. 우체국 예적금 드는 이유와 금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우체국 예금, 적금 금리 비교 및 장단점 총 정리
우체국에서 예적금을 드는 이유
우체국 예금이나 적금상품은 예금자보호법의 보호대상이 아닙니다. 하지만 우체국의 예금상품은 우리나라 정부가 지급보증을 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5천만 원까지 예금자보호법을 적용받는 것이 아니라 한도 없이 무한대까지 정부가 보증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래서 많은 단위에 큰 액수를 예금하시는 분들은 우체국예금을 이용하시는 게 안정성과 수익성에서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는 현명한 방법입니다.
우체국 예금 정보
우체국 예금의 최고금리는 5%이며 이것은 현재 제1 금융권인 케이 뱅크의 최고금리 상품인 코드 K정기예금과 같은 이자 수준을 보이고 있습니다. 다른 신한, 국민, 우리 은행 등의 메이저 은행권의 금리보다는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시중의 대형 은행보다는 높거나 같은 준수한 예금금리 수준을 보이면서 예금액은 국가가 보장을 해주니 안심하시고 든든하게 이용하시면 되겠습니다.
상품별로 금리 차이가 조금 나고 예치금액이 정해져 있는 상품이 있으니 비교하셔서 선택하시면 됩니다. 대부분의 상품이 방문 없이 온라인으로 가입이 가능하고 우체국 스마트뱅킹 앱으로 가입이 가능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우체국 적금 정보
우체국 적금의 최고금리는 현재 5.95%이며 방문 없이 가입하는 비대면 가입 상품의 경우 5.8%의 적금금리를 적용하고 있습니다. 적금상품의 경우 다른 제2금융권 적금상품들이 10%에 육박하는 금리를 보여주고 있는 만큼 금리 차이가 꽤 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적금상품은 상대적으로 메리트가 크게 느껴지지 않아 추천을 드리지는 않습니다.
다만 우체국 특판 적금이 가끔 올라오는데 이런 상품들은 적금금리가 상대적으로 높지만 마감이 빨리 되니 네이버나 구글에서 가끔 한 번씩 찾아보는 습관을 가지시면 놓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적금상품 또한 예금상품과 마찬가지로 정부가 한도 없이 보증하는 상품입니다. 이러한 장점을 이용하실 분들은 최고금리 상품을 비교하시어 선택하시면 되겠습니다.
우체국 예적금의 단점과 예금상품 가입 팁
우체국의 예적금의 단점은 딱 하나입니다. 제2금융권 은행들이나 신협, 새마을금고 등의 예적금 금리보다 낮은 점이 유일한 단점이라고 생각합니다. 예금은 최대 1% 정도 적금은 최대 5% 정도 차이가 나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제2금융권(저축은행, 신협, 축협 등) 예금상품들은 최대 5천만 원까지 예금자보호법에 의해 보호받을 수 있으니 이자까지 포함한 총 예금금액을 5천만 원이 넘지 않게 예치하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이자가 200만 원이라면 원금을 4800만 원으로 맞추셔서 은행이 부도가 나더라도 예금자보호법에 의거하여 5천만 원 전부를 보호받으실 수 있습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트코인 미래전망 (0) | 2024.11.29 |
---|---|
2025년 대한민국 경제 전망 (0) | 2024.11.29 |
2024년, 고금리 예금 혜택 최대한 활용하는 방법 – 사람들이 놓치는 예금 비법 총정리 (5) | 2024.11.11 |
은행별 예금 금리 비교 - 2024년 최고의 예금 금리를 찾아서 (2) | 2024.11.11 |
신협 예금 적금 금리 비교 총 정리 (0) | 2022.12.20 |
댓글